본문 바로가기

jujubetea_대추차

내가 “권력에의 의지”를 이해하는 방식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를 이해하려면, 일상적으로 쓰는 '권력' '의지'라는 개념은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  
 
권력은 정치적인 의미의 권력이 아니다. 들뢰즈가 깔끔히 정리한 바, 그것은 어떤 대상 (인간) 에 내재해 있는 잠재력 (puissance)을 가리킨다. 의지는 결심이라는 심리적인 요소도 (권력에의) 욕망도 아니다.  생물체를 보면, 의지는 차라리 엔트로피에 역행하는 생명력의 사투 같은 느낌이 든다. 근데 이 의지는 사물에도 있고, 문법에도, 지식 속에도, 감각 속에도 있는 것이다.  
 
理의 망에서 관계하는 氣의 펼쳐짐(氣之聚散)같은 이미지. 
 
그러니까, '권력에의의지'라고 한 단어로 생각하고 어떤 '원리' 혹은, (무한한 차이로 이루어진 세계) 안에서 작동하는 '통일성' ...뭐 이런 프린시플의 이미지를 떠올려야 한다.  氣의 聚散(취산: 모이고 흩어짐)을  컨트롤하는 理의 포괄적 경향성 정도로 맵핑(mapping) 하는게 편하다, 나에겐 
 
*
"니체에 따르면, 우리의 세계는 생성의 세계, 어떤 존재도 안정된 동일성을 누릴 수 없는 계속적인 와류와 변화의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에서는 [니체왈]'어떤 것도 동일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단지 다른 동력학적인 양자들(quanta)과 긴장 관계에 놓여 있는 동력학적 양자들만이 존재한다.'" 
 
내용이 무슨... 양자물리학자의 발언 같아서 인용문을 옮겼는데.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 ‘나’라고 하는 것은 의지/사건/氣의 차원에서 보아도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미시적 의지/사건/氣들의 복합체이며 결과물이다. 난, 이런 이미지가 편해서 이렇게 이해하기로 했네. 
 
 
들뢰즈 <니체와 철학> 해설인 보그(Ronald Bogue)의 책 1장을 읽었다. 전공자가 나와서, 웬 귀신 방귀 끼는 소리냐, 할 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요즘 잘 나가는 이론물리학자인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가 설명하는 세계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Nietzsche
#Deleu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