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아와 시뮬라크르,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
. 이정우는 의 Part 2 ‘시간, 생명, 창조’ 그리고 그 안에 있는 Chapter 5, “생명의 약동”에서 그가 번역한 을 깔끔하게 정리한다. 베르그손-들뢰즈의 생명철학은 이 에세이를 깔고 이해하며 나가면 되겠네. ‘파트 2’의 또 다른 내용은, ‘니체의 영원회귀’다. . . “영원회귀를 긍정한다는 것… 그것은 자신에게 영원히 되돌아오는 자기-초극의 상황/계기들을 긍정하는 것이다. 차이와 반복의 놀이, 우연contingency의 놀이, 주사위놀이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긍정하는 것, 번개의 웃음을 터뜨리는 것, 창조로서의 삶을 사는 것, 자신의 사건들을 사는 것.” - 이정우,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 이데아와 시뮬라크르 . 여기에서 심각하게 숙명론의 뉘앙스가 아니라, 놀이의 뉘앙스를 읽어내어야 한다...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